2년 전 이맘 때쯤, 아마존 웹 서비스 (AWS) 면접을 보러 오라는 연락을 받았다. GS 타워 2층에서 방문증을 받고 12층 로비로 향하면서 예상 질문과 발표 자료를 머릿 속으로 떠올려봤다. 이전 직장에서의 직무 경험, 클라우드 시장의 동향에 대한 정보, 봉사 활동 경험을 통해 얻었던 교훈, 스타트업 시장에서 치열하게 고민했던 사회 문제까지. 나의 인생 경험이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일하는데 어떤 도움이 될 것인가를 다시 한번 점검하던 중 인터뷰어가 로비 층으로 들어오면서 내 이름을 불렀다.
전 직장에서 주로 입던 양복을 입고 인터뷰할 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청바지와 각종 색깔의 티셔츠를 입은 직원들을 마주치면서 내가 외국인이 된 듯한 어색함을 느꼈다. 벽지조차 알록달록했던 아마존 웹 서비스의 사무실 디자인은 경직된 내 뇌를 말랑하게 만들었다. 한국의 도시 이름으로 명명된 회의실 중 하나로 들어가 이력서 기반의 면접을 시작했다. 면접관은 한 장으로 요약된 내 이력서를 빠르게 훑어보면서 궁금한 점을 질문했다.
세일즈 타겟을 105% 이상 달성했던 경험이 있네요? 전 직장에서 사용했던 어플을 활용해 어떤 마케팅 활동을 했었죠? 매니저와 충돌했던 경험이 있나요? 봉사로 인도를 다녀오셨는데 어떤 역할을 하셨어요? 운동을 좋아하시나봐요? 외국인과 어울렸던 경험 중 기억에 남는게 있나요? 1시간 남짓 1:1 로 이력서 중심으로 온갖 질문이 쏟아졌다. 면접관은 대답을 한 번 하면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궁금한 부분을 계속해서 묻고 내가 답변한 내용을 요약해서 랩탑에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Why Cloud? Why AWS? 에 대해 준비한 장표를 열고 발표했다. 15분 정도 진행하면서 면접관이 궁금한 점을 질문했다. 기록된 숫자, 로고, 내용, 출처까지 장표에서 보이는 모든 내용에 대해서 묻고 답하는 시간이 이어진다. 추후에 들어보니 해당 피칭을 위해 장표를 준비한 사람도 있고, 구두로 발표를 진행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본인이 편안한 방식으로 진행하되, 가능하면 열의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아마존의 채용 프로세스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1. Resume (이력서 검토) 2. Phone Screening (이력서 면접) 3. Business Case Presentation (비즈니스 케이스 분석 및 발표) 4. Leadership Principle Interview (리더십 원칙 관련 면접)이다. 내가 진행했던 것처럼 2번과 3번을 합해서 진행하기도 한다. 사실, 아마존 채용에서의 핵심은 약 4시간 동안 4명~8명 가량의 면접관과 대화하는 4번 리더쉽 원칙 관련 면접이다.
👉위와 같이 입사 후 3년만에 Manager로 승진한 뿔난 강아지님과 커피챗하기 (링크)
아마존 웹 서비시스 (AWS) 관련 글
아마존 웹 서비스 (AWS) Leadership Principle (리더쉽 원칙) 면접을 4시간 동안 진행하고 나면 어떻게 될까?
아마존 웹 서비스 (AWS)에 입사하려면 영어를 얼마나 잘해야 하나요? 1편
아마존 웹 서비스 (AWS)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면?
'IT > AWS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웹 서비스 (AWS) 에서 영업 마케팅 업무를 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1) | 2023.03.07 |
---|---|
아마존 웹 서비스 (AWS)에 대해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들 - 1편 (Q&A, 댓글 환영) (0) | 2022.05.31 |
아마존 웹 서비스 (AWS)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면? (3) | 2022.05.24 |
아마존 웹 서비스 (AWS)에 입사하려면 영어를 얼마나 잘 해야하나요? 1편 (3) | 2021.10.22 |
아마존 웹 서비스 (AWS) Leadership Principle (리더십 원칙) 면접을 4시간 동안 진행하고 나면 어떻게 될까? (1) | 2021.08.17 |